


회계감사
박순욱(감사)교수님
교수님 약력/저서
약력
2.現 한공회 ICFR WG 위원
3.現 한공회 FV 평가소위 검토그룹
4.現 한공회 Data Analytics 강사
5.現 서울사이버대 경영학과 겸임교수
6.前 한공회 정보기술 위원
7.前 Deloitte Partner
8.KICPA, AICPA, CISA
연세대 경제, 서울대 경영대학원
저서
ISA 회계감사
본 글은 2차 합격 후 입사 준비 중인 예비 회계사와 상담 메일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Data Analytics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께 참조가 될 것 같아서 공지에 올립니다.
참고로 문의하신 분은 결국 Python 과 Fraudit 관련한 재무빅데이터 2급 합격 후 입사 준비중이네요. ^^
최근 Big4 취업이 용이하지 않은 환경에서 "Python 우대" 간판을 더해서 유리한 측면은 존재합니다.
<문의>저는 이번에 58회 공인회계사 합격생으로 아직 학교가 1년여 정도 남아 내년 입사 예정인 대학생입니다.
1년여 동안 무엇을 하면 취업시장에서 유리할지 생각해보다가 현재 데이터 애널리틱스가 유망하기도 하고, 한국공인회계사회에 나오신 유튜브 채널을 보면서 해당 분야에 대하여 관심이 생겼습니다.
제가 여쭙고자 하는 것은 파이썬을 하면 회계사인 저희에게 개발자 수준까지는 요구하지 않을텐데 어느정도 수준까지 요구하는지 궁금해서 연락드렸습니다.
해당 지식을 쌓기 위해 추천해주실만한 강의가 있으신지, 그리고 박순욱 회계사님이 한국공인회계사회 아카데미에 올리신 파이썬 강의 들어도 충분하지 궁금합니다.
또한, 내년 입사를 위해 파이썬 관련 자격증 하나를 취득하면 좋을 것 같은데 현재 재무빅데이터분석사를 취득하면 좋을지도 의견 여쭙습니다.
<답장>
Data Analytics에 관심 가지시면 Generalist 보다 Specialist의 길이라 적성도 맞아야 합니다. ^^IT Audit, Risk Advisory, Data Analytics, Valuation은 각 법인 마다 별도 부서가 존재하며,
일반적인 감사팀과는 다른 career일수도 있습니다.
다만, 일반 감사팀 skill에 추가한다면, 금상첨화일수도 있겠네요,.
1. python수준: Special팀 경력을 원하지 않으면 모르셔도 됩니다. ^^
무슨 팀이든지 Excel이 우선입니다. 컴퓨터활용능력 2급 공부 먼저 추천드려요.
자격증 자체가 중요하진 않습니다만, Excel함수( if, ifs, vlookup, index/match, 해찾기 등 )와 VBA(매크로)가 감사인입장에서 훨씬 유용합니다.
Valuation 등 일반CPA업무는 거의 다 가능합니다.
타고난 겜돌이이고, Big Data(레코드 백만이상), AI 나 IT 관련으로 CPA를 하고 싶다면,
Python을 일찍 관심가지시면 좋겠습니다.
다만, 막연하게 공부하는 것 보다, Python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가 훨씬 중요합니다.
감사팀 partner가 꿈인지, Valution, Deal, IT 전문가 어느 영역이 나의 꿈인지 먼저 판단하는게 좋겠죠.
2. IT 전문 CPA란?
IT Audit도 일반통제, 응용통제, Data Analytics 영역별로 skill-set이 다릅니다.
-일반통제: CISA 자격증 + 내부회계 ICFR 전문가로 IT Audit Team 근무
-Data Analytics: 재무빅데이터분석사 2급&1급, 컴활 2급 & 1급(Access) : 컴활1급 Access은 DB개념과 Query 공부에 유용하나 실사용은 Python의 Pandas가 일반적. 빅데이터 아니면 Excel로 충분.
상장기업 JET 업무(대부분이며, 기계적이기도 함), 금융권 채권 data 분석 등.
-응용통제: embedding Automated control test이나 실제로는 case by case라 data analytics skill과 ICFR 개념으로 접근이며, 별도 자격증은 없다고 보면 됨.
-Valuation: 이항분포모형은 일반적으로 Excel & VBA로 거의 가능. python은 LSMC모형 등까지도 가능하나 굳이.. Risk팀 중에는 Valuation을 함께 다루는 조직도 존재함.(우리회계법인)
-컨설팅: SAP등 ERP 자격증만 해도 CPA 못지 않게 전문가로 지낼수도 있음.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서는 코딩 개발자보다는 Process 설계 컨설턴트 역할 및 PMO(플젝관리)로 가는 방향이며, DBA와 개발자를 다루기위한 기본 소양으로 study하는 것은 필수.
-AI 와 RPA : python 개발은 최근 chat GPT이후 급변하고 있으며, Citizen 개발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Excel에 Python 내장 version 곧 출시됨.
Global하게 회계법인들은 분개장과 관련 증빙 업로드시 AI를 이용한 감사소프트웨어를 검토 중입니다.
이를 이용하는 감사인으로 살것인가? 이 감사소프트웨어 관련 업무를 할 것인가는 다른 이야기입니다.
-XBRL : XML을 이용한 공시업무도 진행 중인 바, 이 영역도 DB 및 coding과 친근한 회계사가 유리하겠습니다. (이 것만 전문으로 하는 건 반댑니다. 감사 등 Main업무와 더불어 하는 건 찬성입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박순욱 드림